您好!歡迎來到日韓道教育,體驗(yàn)日韓語純正之道!
電話:18114010322(手機(jī)號(hào)同微信)
地址:南京市鼓樓區(qū)中山路55號(hào)新華大廈
韓國人穿韓服的歷史
信息來源:本站 日期:2017-07-18
日韓道隸屬于知名教育機(jī)構(gòu)朗閣歐風(fēng),是其傾力推出的專注于日韓教育及留學(xué)考試的培訓(xùn)品牌。日韓道旨在以日韓留學(xué)為目標(biāo),著力于提高中國學(xué)生在日韓留學(xué)考試的競(jìng)爭(zhēng)力,專注于日韓留學(xué)考試培訓(xùn)的研究與教學(xué),更重視學(xué)生的語言溝通與應(yīng)用能力,包括日本語JLPT能力測(cè)試、韓國語TOPIK能力考試、口語 、口譯、文化等各類應(yīng)試及興趣課程。
韓服向來是朝鮮民族最鮮明的民族標(biāo)志,不僅代表了這個(gè)民族的智慧,更是表現(xiàn)出了這個(gè)民族的美麗優(yōu)雅。服飾歷史是一個(gè)民族歷史重要的組成部分,想要更好的了解朝鮮民族的歷史,就要了解韓服的歷史。今天就一起隨小編來了解一下韓服的歷史吧!
고조선시대에 이미 초의생활(草衣生活)에서 벗어나 칡과 삼으로 짠 옷감을 사용하고, 전잠(田蠶)과 직조의 기예가 늘어감에 따라 의류문화에 진전을 보여주었다. 그후 고구려·백제·신라의 삼국시대에는 옛 사기(史記)나 고분벽화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, 대체로 유(襦) ·고(袴)와 상(裳)·포(袍)를 중심으로 한 복장이었으며, 여기에 관모(冠帽)·대(帶)·화(靴) 또는 이(履)가 첨부되었다.
古朝鮮時(shí)代就已經(jīng)走出了草衣生活,使用葛和麻做成的衣服。隨著養(yǎng)蠶、織造等技術(shù)的興起,衣物文化也不斷進(jìn)步。之后,在高句麗、百濟(jì)、新羅的三國時(shí)代時(shí),通過史料記載或者古墓壁畫可以知道,出現(xiàn)了大體以襦、袴、裳、袍為中心的服裝,還加入了冠帽、帶、靴、履等物件。
유는 저고리로서 상체의 옷이고, 고는 바지, 상은 치마로서 하체의 옷이며, 여기에 머리에는 관모를 쓰고, 허리에는 대를 띠며, 발에는 화 또는 이를 신어 포피(包被)로서의 의복의 형태를 갖추는 동시에,그 위에 두루마기로서의 포를 더함으로써 한대성(寒帶性) 의복 곧 북방 호복(胡服) 계통의 의복을 나타낸다.
襦作為上衣就是上體的衣服,袴作為褲子就是下體的衣服,頭上戴著冠帽,腰上扎著腰帶,叫上穿著靴子,或者將腳步包裹住的作為包被的衣物,同時(shí)上面還加上了作為長袍的袍,出現(xiàn)了寒帶型衣物即北方胡服系統(tǒng)的衣物。
고(바지)는 용도에 따라 폭과 길이에 변화가 있었는데, 양복바지와 같이 폭이 좁은 궁고(窮袴:細(xì)袴)와 지금의 한복바지와 같은 대구고(大口袴:또는 寬袴)가 있었고, 오늘날의 잠방이와 같은 가랑이가 짧은 곤(褌)이 있었다. 궁고는 민층의 하의(下衣)였고, 대구고는 상류층의 하의였는데, 발목을 대님으로 묶기도 하였다. 이 바지를 신라에서는 가반(柯半) 또는 가배(柯背)라 하였는데, 지금 우리말의 고의·고쟁이도 이에서 어원을 찾을 수 있으며, 바지라는 표현은 조선시대에 들어와 정인지(鄭麟趾)가 '把持'라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하나, 이 호칭은 이미 널리 사용되었으리라 생각된다.
袴根據(jù)用途,寬度和長度都有變化,有和西服差不多的較窄的窮袴,有和現(xiàn)代韓服類似的大口袴,還有類似于現(xiàn)代短褲的褲腿較短的裈。窮袴是民眾階層的下裝,大口袴則是上流階層的下裝,腳腕處要用褲腳帶綁住。這樣的褲子在新羅時(shí)期還被稱為柯半或者柯背,現(xiàn)在韓語中的袴衣、女子內(nèi)褲等詞能從這里找到詞匯的起源,褲子這樣的表示是從朝鮮時(shí)代開始,應(yīng)該是從鄭麟趾說“把持”這個(gè)次開始的,當(dāng)時(shí)就已經(jīng)使用很廣泛了。
상(치마)은 여자 전용의 하의로서, 고와 상을 혼용하였다. 형태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길고 폭이 넓어 땅에 끌릴 정도였으며, 허리 부분부터 치맛자락 끝까지 잔주름이 잡혔고, 다시 치맛자락 끝에 일종의 장식연(裝飾緣), 곧 선을 둘러 조선시대의 스란치마를 연상시키는 것이었다. 상을 치마로 표현한 첫 기록은 원경왕후 선전의에 '赤古里'와 함께 나오는 '赤亇’로서, 한글로는 사도세자(思悼世子)의 빈(嬪)혜경궁 홍씨(惠慶宮 洪氏)의 《한중록(閑中錄)》에 처음으로 등장한다.포(두루마기)는 표의(表衣)를 뜻하는 것으로서, 당시에는 유와 고 위에 착용하여 양복의 외투와 형상이 비슷하였다. 이 포를 당시에는 왕공(王公) 이하 평민에 이르기까지 남녀가 모두 보편적으로 착용하였다.
裳(裙子)作為女子專用的下裝,袴和裳會(huì)混著使用。形態(tài)大概是長度很長,幅度很寬,裙角拖地的程度,從腰部開始到裙角部分會(huì)制作出細(xì)褶,在裙尾出還會(huì)墜上裝飾物,也就是繡上線條,能讓人聯(lián)想到朝鮮時(shí)代的貼邊長裙。裳用裙子這個(gè)詞來表示的第一次記錄是作為和元敬皇后選奠儀中的“赤古里”一起出現(xiàn)“赤亇”,漢字表示是在思悼世子的嬪妃惠慶宮洪氏的《閑中錄》中首次出現(xiàn)。袍(長袍)代表著表衣的意思,穿在當(dāng)時(shí)的襦和袴的外面,和西服的外套形式相似。這個(gè)袍在當(dāng)時(shí)是上到王公貴族,下到平民百姓,男女老少全部都會(huì)穿的衣物。
이러한 한복의 기본형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큰 변화가 없다. 다만 관복(官服)에서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무렵(眞德女王 2년) 중국 당(唐)나라의 제도를 받아들여 습용함으로써 고려·조선시대까지 중국의 제도를 준용하였다.
這樣的韓服的基本型發(fā)展到幾天幾乎沒有太大的變化。只是官服在新羅統(tǒng)一三國的時(shí)候,接受了中國唐朝的制度并一直襲用,直到高麗、朝鮮時(shí)代,一直使用著中國的制度。
중국과 한국은 정치·문화 교류를 통하여 양국의 복식도 서로 영향을 끼쳤는데, 신라의 경우는 반비(半臂)·배당(褙襠)을 비롯하여 여자 포제(袍制)로서의 활수의(闊袖衣)·색사대(色絲帶)가 그것이다. 조선시대에는 임진(壬辰)·병자(丙子)의 두 국란을 겪으면서 우리 민족의 자각심이 일기 시작하여 민족 복식을 형성한다. 이에서 두드러진 것은 남자의 포제와 입제(笠制)이며, 여자의 예복과 친의류(襯衣類:속옷류)이다.
中國和韓國通過政治文化的交流,兩國的服飾也相互受到影響,新羅時(shí)候包括半臂、褙襠在內(nèi)的作為女子袍制的闊袖衣的色絲帶就是鮮明的例子。之后經(jīng)過了朝鮮時(shí)代壬辰、丙子兩大動(dòng)亂,朝鮮民族的民族意識(shí)開始覺醒,形成了自己的民族服飾。其中最明顯的就是男子的袍制和笠制,女子的禮服和親衣類。
學(xué)術(shù)中心
日語學(xué)習(xí)韓語學(xué)習(xí)推薦院校優(yōu)學(xué)體驗(yàn)
在線測(cè)試免費(fèi)試聽在線客服學(xué)在日韓道
學(xué)習(xí)環(huán)境關(guān)于我們
在線客服聯(lián)系我們掃一掃 添加老師微信
掃一掃 添加老師QQ
電話:18114010322
地址:南京市鼓樓區(qū)中山路55號(hào)新華大廈
版權(quán)所有Copyright© 南京日韓道語言培訓(xùn)中心有限公司 蘇ICP備2023005576號(hào)-1